Login Logout Link+ Admin Write

Windower 4 설치 및 유용한 애드온+플러그인

이게 뭐냐면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은 상태의 파이널판타지 11 UI 입니다. (정확히는 해상도 정도만 건드린 상태입니다.)

아무래도 나온지 20년이 넘어가다 보니 여러모로 편의성 부분에서 불편한 지점이 있습니다.

이런저런 불편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유저들이 만든 비공식 외부 프로그램이 있는데, 바로 Windower 4입니다.

이것이 얼레벌레 Windower의 애드온과 플러그인을 적용한 제 화면입니다.


Windower 4 설치

https://www.windower.net/

 

Windower 4 | windower.net

Auto Updates! No more guessing if you have the latest version of Windower or the plugins! Every time you launch Windower 4, it will check and make sure all of your files are up to date and update them accordingly! Getting new plugins is equally as easy! Ju

www.windower.net

들어가면 바로 다운로드 버튼이 보입니다. 누르면 Windower.exe 파일이 저장돼요.

(작년쯤만 해도 Windower.msi 파일이 다운받아졌던것 같은데 뭔가 업데이트된건지 변경되었습니다.)

다운받은 exe 파일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설치 및 실행이 진행되는데, 이것도 경로상 충돌이 있는지... C드라이브 외의 경로에서는 설치해도 제대로 실행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는 파일을 C드라이브에 이동하여, C드라이브에 직접 설치했습니다.

https://posty.pe/3nyo7e

 

파이널판타지11 팁글 - 더욱 편한 바나생을 위하여5: 방앗간

■ '파판 11' '팦 11'로 검색하다가 종종 11을 해볼까~ 하시는 내용이 보여 혹시라도 도움이 될까 하여 작성합니다. 도움될 내용을 추가로 발견할 경우, 포스트가 수정될 수 있습니다. ■ 해당 포스

www.postype.com

Windower4의 기본 기능에 대한 가이드는 이쪽을 참고하심이 좋습니다.


위 링크를 보고 오셨다면+윈도워를 실행해 보셨다면 아시겠지만, 윈도워 내에는 다양한 애드온과 플러그인이 존재합니다. 그만큼 다양한 기능이 있고, 필요와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 윈도워에는 포함되어있지 않은 추가적인 애드온도 있고요.

이 글에서는 사용중인 애드온+플러그인 위주로 설명하겠습니다. 나중에 다른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수시로 추가할 수도 있고요...


시작하기 전에: 윈도워를 통해 게임을 실행한 뒤, insert 키를 통하여 윈도워 콘솔을 열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가시성이 좋지는 않지만... 윈도우 cmd와 비슷합니다. 명령어와 내용을 입력하여 윈도워와 엮여 있는 이것저것들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애드온을 사용하면서 커스텀을 하기 위해서는 윈도워 콘솔 사용이 필수적입니다.

생긴 건 좀 아찔하지만, 타자만 칠 수 있다면 문제없습니다. 맨 마지막 줄이 입력칸입니다.

이하의 글에서 콘솔=윈도워 콘솔입니다.



1. xivbar (애드온)

익숙한 형태의 HP/MP/TP 게이지입니다.

말 그대로 각각의 수치를 보기 편하도록 나타내줍니다. 5.0 칠흑의 반역자 이전 패치의 파판14를 플레이해보신 분이라면 익숙한 형태이실겁니다.

3가지 테마가 존재합니다.

xivbar의 경우에는 콘솔 명령어로 수정하는 것이 아닌 설정 파일을 직접 수정하여 적용합니다.

C드라이브 직접 설치한 경우를 기준으로, 설정 파일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C > addons > xivbar > data > settings.xml

settings.xml 파일을 메모장으로 불러오면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1) 위치 조정

<OffsetX>x좌표</OffsetX>
<OffsetY>y좌표</OffsetY>

숫자를 입력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저는 기본값인 0으로 사용합니다.

2) 테마 변경

<Name>테마 이름</Name>

테마 이름 자리에 ffxiv, ffxi, ffxiv-legacy 를 입력하여 테마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3) 변경 내용 적용

변경 내용을 우선 덮어쓰기 저장합니다.

- 게임을 켠 상태라면 콘솔을 열어 lua r xivbar 를 입력합니다.

- 게임을 켠 상태가 아니라면 그냥 게임을 열면 됩니다.

 


2. invtracker (애드온)

인벤토리의 사용 상태를 파판14의 UI 형태로 보여줍니다. 저는 설정값을 따로 건드리지 않고 사용중입니다.

단순히 상태를 보여주는 애드온이며, 클릭해서 인벤토리를 오픈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3. giltracker (애드온)

invtracker와 유사하게 길 소지 현황을 보여주는 애드온입니다.


4. barfiller (애드온)

경험치 누적 상태와 레벨, 직업을 파판14의 경험치바 형태로 보여줍니다.

초기 위치는 우상단에 있어 위치를 조절해 사용중입니다.

단... 업데이트 부재의 문제인지 제 PC의 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y축 이동은 되나 x축 이동이 안 되어 이상한 위치에 짱박아놓고 사용중입니다.

콘솔로 위치 조절이 불가능하며, 세팅 파일을 직접 수정해야 합니다.

C > addons > barfiller > data > settings.xml

1) 경험치바 위치 조절

x좌표와 y좌표를 입력하여 조정합니다. 우상단이 (0,0) 입니다.

2) 텍스트 위치 조절

인게임에서 드래그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나, 재실행하면 원래 위치로 초기화됩니다.

설정 파일을 직접 수정하면 고정된 위치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설정 파일을 수정한 뒤 저장하고, 콘솔을 열어 lua r barfiller를 입력하면 설정이 반영되어 barfiller가 재실행됩니다. 경험치 수치가 초기화되나, 지역 이동을 하면 경험치 상태가 다시 반영됩니다.


5. equipviewer (애드온)

현재 사용중인 장비를 보여줍니다.

콘솔 창을 연 뒤 equipviewer라고 입력하면 명령어가 주르르르륵 뜹니다. 당연히 이걸 다 알 필요는 없습니다.

1) 크기 조절: ev scale <배율>

ev scale 2 입력하면 기본 크기의 2배가 됩니다.

2) 위치 조절: ev pos <x좌표> <y좌표>

ev position 400 500 입력하면 해당 좌표에 맞는 위치로 이동합니다. 초기 좌표는 아마 (400, 400)이었던 것 같고... 제 좌표는 기억이 안 나네요. 애초에 모든 해상도/모니터 크기에서 같은 좌표값을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직접 이것저것 입력해보면서 입맛에 맞는 위치를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3) 배경 색상 및 투명도: ev background <R> <G> <B> <alpha>

RGB값,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완전히 투명하게 하고 싶다면 RGB값은 아무거나 입력한 뒤 알파 값에 0을 입력합니다. ev background 0 0 0 0 이런 식으로요.

반대로 흰색 불투명한 창을 원하신다면, ev background 255 255 255 255 를 입력합니다.


6. Timers (플러그인)

애드온이 아닌 플러그인입니다.

버프 시간, 재사용 대기 시간을 보여주는 타이머입니다. 추가로 개인 설정 타이머도 설정이 가능한데 이건 안 써봐서 잘 모르겠습니다.

C > plugins > settings > Timers.xml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직접 세팅을 수정해줍니다.

1) 간단 모드

<SlimMode>true</SlimMode>

기본 설정(간단 모드 비적용)은 false입니다. 저는 true로 바꾸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2) 위치 조정

위쪽부터 순서대로 재사용 대기 시간, 버프 시간, 커스텀 타이머 위치입니다.

위쪽이 재사용 대기 시간, 아래쪽이 버프 시간입니다.

세팅 파일을 수정해준 뒤 저장 후 콘솔에 reload Timers 를 입력합니다. 애드온이 아니기 때문에 lua reload 명령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7. FFXIDB (플러그인)

윈도워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요? 미니맵 플러그인입니다.

파판11의 지도는 보기가 매우 불편하고 기본 UI에 미니맵이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아주 유용합니다.

드래그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마우스 휠로 지도 크기 조절, 컨트롤+휠로 UI 크기가 조절됩니다.

게임을 재시작해도 설정이 초기화되지 않습니다. 착한 플러그인입니다.


8. Debuffed (애드온)

상대에게 걸린 디버프를 보여주는 애드온입니다. 일클라라서 그런건지 디버프 상태명이 제대로 확인이 안되네요.

기술명: 남은 시간 입니다...

드래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고, 재시작해도 설정이 유지됩니다.


9. enemybar (애드온)

상대의 체력을 보여줍니다. 전 그냥 기본 위치 기본 크기로 사용중입니다.

위치 변경은 세팅 파일로 직접 해야하는 것 같네요.

C > addons > enemybar > data > settings.xml


10. xivparty (애드온)

윈도워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애드온입니다. 따로 다운받아서 넣어줍시다.

파티 상태를 보여줍니다. 본인과 파티원의 체력, MP, TP 및 버프 상태가 나타납니다. 연합 파티도 지원이 됩니다.

1) 기본 설치

https://github.com/Tylas11/XivParty/releases

 

Releases · Tylas11/XivParty

A party list addon for Windower 4. Contribute to Tylas11/XivParty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링크로 들어가서 XivParty.zip을 다운받고 압축을 해제해 애드온 폴더에 넣어줍니다.

단 윈도워 기본 애드온이 아니기 때문에 넣어만 둔다고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C > scripts > init.txt 파일을 열어 맨 끝에 아래 내용을 복붙하여 저장해주세요.

lua load xivparty

이제 게임 실행 시 자동으로 xivparty가 로드됩니다.

2) 유용한 명령어

xivparty hidesolo: 파티 상태가 아닐 때 xivparty UI를 숨깁니다. 재입력시 다시 나타납니다.

xivparty hidecutscene: 컷씬에서 xivparty를 숨깁니다. 재입력시 다시 나타납니다.

xivparty showemptyrows: 파티가 비어 있어도 빈 자리를 표시합니다. xivparty가 풀파티 상태에서 어느 정도 공간을 차지하는지 확인하기 좋습니다. 재입력시 해당 모드가 꺼집니다.

xivparty setup: 드래그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모드가 켜집니다. 재입력하면 해당 모드가 꺼집니다.

위 명령어를 콘솔 창에 입력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11. Balloon (애드온)

NPC의 대사를 다른 창에 띄워서 보여줍니다.

기본적으로 11은 엔피씨고 뭐고 다 공평하게 챗 로그에 띄워주기 때문에 스토리 감상 시에 좀 불편한 감이 없지 않은데... 이렇게 따로 띄워주면 훨씬 보기 편합니다.

이것도 윈도워 기본 애드온이 아니기 때문에 따로 설치가 필요합니다.

1) 다운로드 및 설치

https://github.com/StarlitGhost/Balloon/releases

 

Releases · StarlitGhost/Balloon

Windower 4 addon to display FFXI NPC text in conversation balloons - StarlitGhost/Balloon

github.com

표시한 Source code 파일을 다운받아 압축을 풀고 그대로 addons 폴더로 옮겨줍니다.

옮긴 뒤 폴더명을 애드온 이름과 동일하게 Balloon으로 수정합니다.

C > scripts > init.txt 파일을 열어 맨 끝에 아래 내용을 복붙하여 저장해주세요.

lua load balloon

이제 게임 실행 시 자동으로 balloon이 로드됩니다.

2) 세팅

위치의 경우 드래그로 조정 가능합니다.

콘솔 창에 bl theme (테마명) 을 입력하면 테마 지정이 가능합니다. 저는 ffxi 테마를 사용하고 있으며, 기본 테마는 ffxiv 테마입니다.

ffxiv 테마입니다.

bl portrait: 대화창이 뜰 때 NPC 초상화를 띄우는 기능입니다. 기본 on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12. boxdestroyer (애드온)

11은 몬스터를 잡으면 종종 이런 상자를 떨구는데, 그냥 오픈이 안 되고 10~99 사이의 숫자를 입력해 암호가 맞아떨어지면 그 안의 아이템을 얻을 수 있습니다.

어떤 숫자가 나올지 확률적으로 알려줍니다.

처음 2~3회정도는 숫자를 입력해서 적당한 범위를 프로그램이 파악한 뒤, 범위 내에서 숫자를 추천해주는데...

몇 번 사용해보니 안 맞을 때도 많습니다. 운빨망겜같으니라고


13. LightLuggage (플러그인)

자동으로 같은 아이템을 모아줍니다. 윈도워를 사용하는 큰 이유 중 하나 그 두번째입니다.

인벤토리가 터지는 것을 조금 방지해줍니다.


제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것들은 이정도입니다. 게임을 진행하다보면 다른 것들도 필요할수도 있겠는데... 일단은 이정도만 있어도 초반에는 괜찮지 않을까요? 아님말고...

이 글은 앞으로도 제가 11을 하면서 사용하는 애드온/플러그인이나 설정에 따라서 종종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구글링 해보면 애드온에 자체 커스텀까지 붙여서 UI를 훨씬 깔끔하게 만들기도 하던데 아직 거기까지는 모르겠고...

 

제가 도와드릴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문의는 트위터 @mnysdesu / 연합우주 @rwakkky@buttersc.one 으로 와주시면 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거운 바나딜 생활 되세요!

2025.04.19 마지막 업데이트